Brief

"On December 12, 2024,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issued an update regarding 'Patent Office Opens 5 Million Cas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hange Information'. The KIPO announced that it will open approximately 5 million cas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hange information to the public through its Knowledge and Patent Information Service (KIPRISplus)."

보도자료
보도시점2024. 12. 12.(목) 09:00배포2024. 12. 12.(목) 08:30특허청, 지식재산권 권리변동정보 5백만 건 개방한다- 인 공 지 능 학 습 용 데 이 터 7종, 일 본 특 허 공 보 한 글 번 역 문 도 순 차 적 으 로 개 방 예 정 – 특허청(청장 김완기)은 12. 12.(목)부터 국내에 보유한 특허 및 실용신안의 법적상태정보 약 500만 건을 지식재산권 특허정보 개방 플랫폼인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를 통해 개방한다고 밝혔다. * 국내·외 지식재산권 데이터를 대량으로 제공하는 서비스(plus.kipris.or.kr)<지식재산권 출원에서 소멸까지 법적 변동 사항을 기록한 정보 약 500만 건 개방> 이번에 개방되는 법적상태정보는 지식재산권의 출원에서 소멸까지 모든 과정에서 발생한 법적 변동 사항을 기록한 정보다. 특허청은 1942년부터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의 국제표준에 맞춰 가공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붙임 1] 기업 및 연구기관 등은 법적상태정보를 활용하여 특허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특허 분쟁에 대한 선제적 대응 등을 할 수 있어, 이번에 개방되는 법적상태정보가 지식재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7종, 일본 특허공보 한글 번역문도 순차 개방 예정> 특허청은 민간의 지식재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올해는 권리자 변동 정보를 비롯한 7종*을 개방하였고, 내년에는 수요가 높은 인공지능 학습용 특허 데이터 7종과 일본 특허공보의 한글 번역문 1종을 순차적으로 대민에 공개할 예정이다. * 표준화 특허공보 DB(4월), 권리자변동정보 DB 3종(5월), 중국 특허 한글번역문 DB(9월), 특허협력조약-한국형 분류코드 연계 DB(10월), 법적상태정보 국제표준 DB(12월)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는 특허청이 운영하는 공공 데이터 개방 플랫폼으로, 국내·외 13개국에서 발간한 지식재산권(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공보*와 특허 행정정보 등 총 126종의 데이터 상품을 파일 또는 공개 API(Open API**) 형태로 개방하고 있다. [붙임 2] * 지식재산권 공보 : 지식재산권의 기술 내용을 공시하는 관보** Open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표준화하여 구축된 데이터를 누구나 실시간으로 호출하여 다양한 정보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개 인터페이스 특허청 이인수 산업재산정보국장은 “앞으로도 민간이 원하는 맞춤형 정보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제공함으로써, 지식재산 정보가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개방데이터의 품목을 확대하고, 데이터의 품질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붙임 1. 법적상태정보 국제표준(ST.27) 데이터 개방 안내문 2.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 개요담당 부서산업재산정보국책임자과 장 이동영(042-481-5134)담당자서기관소재면(042-481-5077)산업재산데이터관리과담당자주무관김성준(042-481-5137)
– 3 –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11111111111111붙임 1 법적상태정보 국제표준(ST.27) 데이터 개방 안내문특허 법적상태정보 국제표준(ST.27) 1. 개요특허 및 실용신안의 출원에서부터 소멸까지의 전주기에 걸쳐 특허행정 업무에 따라발생한 법적상태의 이력 정보를 국제표준을 준용하여 API및 대용량(BULK)으로 제공합니다.*기존특허법적상태정보의상태코드는자체표준이었으나,신규법적상태정보는WIPOST.27을준용하여특허청간법적상태정보를효율적으로교환하는것을목표로함2.세부정보특허청이 보유한 국내 특허 및 실용신안 데이터의 법적상태정보 이력을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WIPO국제표준(ST.27)을 준용하는 ST.96XML에 수록하여 제공합니다. <제공기간> · 법적상태정보 국제표준 : 1942년 ~ 2024년 6월 <초기구축건수> · 법적상태정보 국제표준 : 5,418,885건메타정보분류체계 국내 IP데이터 > 행정정보 > 상태정보제공기관 특허청업데이트 주기매주상품 개시일 2024년 12월태그법적상태정보세부정보서비스유형벌크데이터, API데이터 제공기간1942년 ~ 현재데이터 건수5,418,885건데이터 제공방식XML데이터 세부사항법적상태정보 국제표준데이터 수수료당해 연도: 682,516원 과거분 전체: 3,753,835원데이터 예시
기본정보
– 4 –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붙임 22222222222222붙임 2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 개요□ 서비스 소개ㅇ특허청이 개방 중인 모든 IP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①벌크 데이터,②OpenAPI방식의 정보제공 서비스
□ 데이터 제공 형태ㅇ(벌크데이터)IP정보를 대용량으로 일괄 제공하는 방식ㅇ(Open API)특허청 DB의 IP정보를 네트워크 연계 기반으로 자체 DB구축 없이 이용하는 방식※’23년국내공보,행정,부가정보(9.3억건),해외공보,부가정보(1.5억건)제공□ 데이터 개방 실적(누적)’22년(115종) ’23년(119종) ’24년(126종)중한 특허 코퍼스미국 권리자 변동정보영한 특허 코퍼스 이스라엘 특허공보유럽 특허 국문번역문의약품 실험데이터미국특허 국문번역문베트남 특허공보인도 특허공보표준화 특허공보국내·외 권리자변동정보 3종중국특허 한글번역문CPC-KPC 분류코드법적상태정보(특허‧실용신안)□ 활용 분야구분활용 기관 활용 목적IP관리특허법인, IP 관리기업, R&D 연구소IP 고객관리 및 성과 관리에 활용IP금융은행, 신용보증기관, 금융 공사기술 담보의 여신 및 금융심사에 활용IP평가기술 평가 전문기관, 평가 연구기관(유망) 기술 평가 측정에 활용IP거래IP 거래 전문기관, 대학권리 거래를 위한 중개에 활용IP서비스IP 번역기업, IP 정보서비스기업번역 엔진 성능 향상에 활용, 신규 서비스 창출에 활용

Highlights content goes here...

Purpose: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has announced that it will open access to approximately 5 million records of patent and utility model legal status information from 1942 onwards, starting from December 12th. This move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dataset for businesses,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public to utilize in managing patents, resolving disputes, and enhancing intellectual property competitiveness.

Effects on Industry:
The opening of these legal status records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various industries and stakeholders.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can now access detailed information about patent statuses, allowing them to better manage their intellectual property portfolios. This will enable more effective decision-making in areas such as innovation, R&D, licensing, and litigation. Furthermore, the increased availability of patent data may lead to improved IP management practices, enhanced collaboration between businesses and academia, and a more efficient dispute resolution process.

Relevant Stakeholders:
The following stakeholders are expected to be impacted by this development:

  1. Businesses: Companies will benefit from having access to comprehensive patent information, enabling them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innovation, licensing, and litigation.
  2. Research Institutions: Academic institutions can utilize the patent data to inform their research strategies, identify potential collaboration opportunities, and develop more effective IP management practices.
  3. Law Firms and Attorneys: Legal professionals will have access to a vast dataset for use in patent-related cases, enabling them to provide more informed advice and representation to clients.
  4. Government Agencies: Government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intellectual property policy and enforcement will benefit from having up-to-date information on patent statuses, facilitating their efforts to protect IP rights and promote innovation.

Next Steps:
To take advantage of this new dataset, stakeholders should:

  1.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KIPO’s data platform (KIPRISplus) and its features.
  2. Develop strategies for utilizing the legal status records in their business or research endeavors.
  3. Consider collaborating with other stakeholders to leverage the dataset for mutual benefit.

Any Other Relevant Information:
KIPO plans to continue expanding its open data initiative, with additional datasets scheduled for release in the coming months and years. These include:

  1. Seven types of patent data, including standardized patent gazettes, right holder changes, and AI learning data.
  2. Japanese patent gazette translations.

By providing access to these datasets, KIPO aims to promote the effectiv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information, foster innovation,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robust IP ecosystem in Korea and beyond.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Quick Insight
RADA.AI
RADA.AI
Hello! I'm RADA.AI - Regulatory Analysis and Decision Assistance. Your Intelligent guide for compliance and decision-making. How can i assist you today?
Suggested

Form successfully submitted. One of our GRI rep will contact you shortly

Thanking You!

Enter your Email

Enter your registered username/email id.

Enter your Email

Enter your email id below to signup.

Enter your Email

Enter your email id below to signup.
Individual Plan
$125 / month OR $1250 / year
Features
Best for: Researchers, Legal professionals, Academics
Enterprise Plan
Contact for Pricing
Features
Best for: Law Firms, Corporations, Government Bodies